1.1 프로그래밍과 C 언어
저장공간 확보 > 데이터 입력 > 처리 > 출력 ( 순서가 있음 )
컴퓨터에게 명령 >> 프로그래밍 언어
1972 년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, 켐 톤슨 개발
하드웨어 제어, 호환성, 이식성 함수 사용
1.2 컴파일러 사용법
소스코드 작성 >> 컴파일 >> 실행파일 완성 >> 운영체제에서 실행
소스코드
하드디스크에 텍스트파일 형식으로 저장 (ASCII) 형식
ASCII 1Byte(8bit) 로 저장
컴파일
코드화된 문자 >> 명령들의 집합
21. C 프로그램의 기본 형태와 데이터 출력 방법
메인 함수 구조
Int main (void) << 함수의 머리 함수 헤드
Int ( 함수 반환형) Main : 함수 이름 ( 매개변수 )
{ } < 함수의 몸통
Return 0; << 종료
Printf
화면에 출력
#include <stdio.h> 전처리지시어 ( std :스탠다드 , io: 인풋 아웃풋)
제어문자
\n 줄 바꿈 ( 개행문자)
\r 커서 위치를 맨 앞으로
\b 커서 위치를 뒤로
\t 다음 탭 뒤로
\a 삑 소리를 냄
정수 출력
Printf(“%d” , 10) << %d 정수 출력
Printf(“%lf” ,3.14) << %lf 실수 출력
Printf(“%.1lf”,3.14) << 소수점의 1의 자리만 출력
2.2 상수와 데이터 표현 방법
상수 : 변하지 않는 수
문자 : 작은 따옴표 , 문자열 : 큰 따옴표
정수 : 2진수로 저장
음수 : 2의 보수로 표현
실수는 오차가 생긴다.
문자는 아스키코드로 변환되서 2진수로 저장
문자열은 널 문자를 붙여 문자열의 끝을 확인함.
'혼자 공부하는 C언어(C언어의 모든것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1 ~ 5.2 if 문과 switch ~case 문 (0) | 2023.02.25 |
---|---|
4.2 – 비트 연산자와 그 외의 멋진 연산자 (0) | 2023.02.25 |
4.1 산술, 관계, 논리 연산자 (0) | 2023.02.25 |
3.2 데이터 입력 (0) | 2023.02.25 |
3.1 변수 (0) | 2023.02.25 |